국제학교 학생 여러분, 그리고 해외 대학 진학을 꿈꾸는 예비 유학생 여러분! 성공적인 학업 생활의 핵심은 바로 Academic Writing (학술적 글쓰기) 능력과 Reading Comprehension (읽기 이해) 능력이라는 것을 잘 알고 계실 겁니다. 수업 과제부터 에세이, 프레젠테이션까지, 명확하고 논리적인 영어 구사 능력은 여러분의 academic journey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하지만 아무리 풍부한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어도, 탄탄한 문법 실력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그 생각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아무리 많은 단어를 알아도 문장 구조와 문법적 기능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학술적인 텍스트를 깊이 있게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국제학교 및 유학을 준비하는 여러분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반드시 숙지해야 할 필수 문법 10가지를 엄선하여 소개합니다. 이 문법들을 완벽하게 이해하고 실제 글쓰기와 독해에 적용한다면, 여러분의 영어 실력은 한 단계 더 도약하고 학업 성취도 또한 눈에 띄게 향상될 것입니다. 🚀
📌 Relative Clause란?
관계절은 명사를 꾸며주어 그 명사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문장 성분입니다. who
, which
, that
, where
, when
, whose
와 같은 관계대명사나 관계부사로 시작하며, 선행하는 명사가 누구인지, 무엇인지, 어디인지, 언제인지, 누구의 것인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 Writing 예제:
✅ Reading에서 유용한 이유:
💡 리딩 팁: who
, which
, that
과 같은 관계대명사나 관계부사가 나오면, 그 뒤에 이어지는 내용이 앞의 명사를 자세히 설명하는 부분이라는 것을 기억하세요!
📌 Passive Voice란?
수동태는 행위자(누가 했는지)보다 행위의 대상 또는 결과(무엇이 되었는지)에 초점을 맞추는 문장 구조입니다. 학술적인 글에서는 연구 과정이나 결과를 객관적으로 서술할 때 능동태보다 수동태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Writing 예제:
✅ Reading에서 유용한 이유:
by + 명사
형태로 행위자를 명시하는 경우도 있지만, 생략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리딩 팁: 수동태 문장을 읽을 때는 "누가" 행위를 했는지보다 "무엇이 일어났는지"에 집중하여 내용을 파악하세요!
📌 Noun Clause란?
명사절은 문장 내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등 명사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절입니다. 학술적인 글에서는 특히 that
절을 사용하여 연구 결과, 주장, 의견 등을 명확하게 표현하는 데 자주 활용됩니다.
✅ Writing 예제:
✅ Reading에서 유용한 이유:
that
으로 시작하는 명사절은 중요한 연구 결과나 핵심 주장을 담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whether
, what
, why
, how
등으로 시작하는 명사절은 중요한 논의점이나 질문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리딩 팁: that
절이 나타나면 그 뒤에 이어지는 내용이 글의 중요한 주장이나 결론일 가능성이 크므로 주의 깊게 읽으세요!
📌 Prepositional Phrase란?
전치사구는 "전치사 + 명사(구)" 형태로 이루어진 구로서, 문장에서 형용사나 부사처럼 기능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아카데믹 라이팅에서는 in contrast to
, according to
, in terms of
와 같은 특정 전치사구가 자주 사용되어 논리적인 관계를 명확히 합니다.
✅ Writing 예제:
✅ Reading에서 유용한 이유:
According to
, Due to
, As a result of
와 같은 표현은 정보의 출처, 원인, 결과를 설명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리딩 팁: 전치사구가 나타나면 어떤 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하는지, 그리고 앞뒤 문장과의 논리적 연결은 무엇인지 파악하는 데 집중하세요!
📌 Conditional Sentence란?
조건문은 특정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 어떤 결과가 발생할 수 있는지 또는 발생했을지를 나타내는 문장 구조입니다. 연구 논문이나 에세이에서는 가설을 설정하거나 다양한 가능성을 논의할 때 빈번하게 사용됩니다.
✅ Writing 예제:
✅ Reading에서 유용한 이유:
if
, unless
, provided that
과 같은 접속사는 조건절을 이끄는 중요한 단서가 됩니다.💡 리딩 팁: 조건절을 발견하면 제시된 조건과 그로 인한 결과 또는 가능성을 명확하게 파악하여 글의 논리적 흐름을 따라가세요!
📌 Appositive Phrase란?
동격 구는 명사 또는 명사구를 다시 설명하거나 부연 설명하는 역할을 하는 구입니다. 학술 논문이나 에세이에서는 전문 용어를 정의하거나 연구 대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 Writing 예제:
✅ Reading에서 유용한 이유:
💡 리딩 팁: 콤마(,)로 둘러싸인 명사구가 나타나면, 앞의 명사를 다시 정의하거나 설명하는 부분일 가능성이 크므로 주의 깊게 읽으세요!
📌 Parallelism이란?
병렬 구조는 문장 내에서 동일한 문법적 형태나 구조를 반복하여 표현함으로써 문장을 더 명확하고 균형 있게 만드는 기법입니다. 논리적으로 체계화된 글쓰기를 위해서는 반드시 숙지해야 할 중요한 요소입니다.
✅ Writing 예제:
✅ Reading에서 유용한 이유:
💡 리딩 팁: and
, or
, but
과 같은 접속사가 나열되는 요소들을 연결하고 있다면, 그 요소들이 동일한 문법적 형태를 취하고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 Hedging이란?
헤징은 학술적인 글쓰기에서 자신의 주장을 단정적으로 표현하기보다는 조심스럽고 신중하게 표현하는 전략입니다. 불확실하거나 일반화하기 어려운 주장을 강하게 내세우면 글의 신뢰도를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may
, might
, could
, suggest
, indicate
, tend to
, appear to
와 같은 단어를 사용하여 완곡하게 표현합니다.
✅ Writing 예제:
💡 리딩 팁: 논문을 읽을 때 연구자들이 결과를 얼마나 확신하는지, 또는 얼마나 신중하게 표현하는지를 나타내는 헤징 표현에 주목하세요!
📌 Transition Words란?
연결어는 문장과 문장, 또는 문단과 문단을 자연스럽게 이어주고 논리적인 흐름을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학술적인 글에서는 주장의 전개, 예시, 대조, 결과 등을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 Writing 예제:
💡 리딩 팁: 연결어가 나타나면 앞뒤 문장의 논리적 관계(예시, 추가, 대조, 결과 등)를 파악하여 글의 흐름을 정확하게 이해하도록 노력하세요!
📌 Cohesion & Coherence란?
응집성(Cohesion)은 문장과 문장, 문단과 문단이 문법적, 어휘적으로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연결어 사용, 대명사 참조, 반복 등을 통해 달성할 수 있습니다. 일관성(Coherence)은 글 전체의 내용이 논리적으로 연결되고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통일성 있게 전개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 Writing 예제:
💡 리딩 팁: 각 문단과 문장의 핵심 내용을 파악하고, 문단과 문단 사이의 연결고리(연결어, 지시어 등)를 추적하면서 글의 전체적인 논리적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한 문단의 마지막 문장과 다음 문단의 첫 문장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주의 깊게 살펴보세요!
지금까지 Academic Writing과 Reading에 필수적인 핵심 문법 10가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하지만 기억하세요! 문법 지식을 습득하는 것만큼 중요한 것은 실제로 글을 쓰고 읽는 과정에서 이러한 문법들을 적절하게 활용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입니다.
📌 이제 여러분은 무엇을 해야 할까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